소재는 좋았으나, 스토리의 탄탄함이 없어 이류 영화지만, 아만다 사이프리드는 생채기가 나고 검댕이 묻어도 예쁘다 :) 장기 대여가 가능해진 미래사회 영화 '리포 맨'이 떠올랐던 영화. 아만다 사이프리드 (실비아 웨이스 역) 저스틴 팀버레이크 (윌 살라스 역)
-슬럼가에서 태어나 평생을 살아온 윌과 금수저로 태어나 '시간 걱정'을 하지 않고 살아온 실비아의 대비되는 세상에 대한 인식과 생활양식.
-시간이 곧 화폐인 세상
-영화의 갈등 해소 부분의 개연성 부족
-실제 경제와 다른 점이 있다면, 자신 소유의 시간이 다 되면 심장 마비로 죽는다는 것,
그리고 세금없이 '시간의 증여'가 가능하다는 것. (세금없이 부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부의 격차를 확대시키는 결과를 낳겠죠?)
-감명받을만한 영화는 아니지만, 현실세계의 경제상황과 비교해가며 볼 재미가 있는 영화 |
소재는 좋았으나 스토리가 탄탄하지 못해 아쉬웠던 영화. 인 타임
미래의 시대에는 이렇게 살지 않을까? 하는 영화.
하지만 미래라고 하기에는 현재의 모습과 닮아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없는(자신을 위한 가용 현금이 거의 없는) 사람들의 삶은 죽음이나 다름없는 삶이니 말이다.
붕어같은 그녀가 칵테일드레스나 원피스를 입었을 땐 정말로 포켓걸 이라는 인상을 주었다.
(국내에 영화 '맘마미아'가 개봉하며 소피를 연기했던 그녀를 보자마자 생각하였다. 붕어상인 모델 젬마 워드와 닮았다! 저 둘은 같은 류겠거니 하며 키도 클 것이라 생각하였지만.)
그리고 포스터는 왠지 007을 떠오르게 하는...
모든 것은 시간으로 정해진다.
커피 한 잔 3분. 스포츠카 59년.
그리고 시시각각 일어나는 시간 인플레이션.
임금도 시간으로 지급. 빅맥지수가 떠오르는.
빅맥지수? 한 마디로: 당신은 한 시간을 일하면 빅맥을 먹을 수 있나요?
(난 쿼터 파운드로.)
이코노미스트에서 1986년 만들기 시작. 한 국가의 화폐가치와 임금 수준을 상대적으로 비교 가능하게 전 세계의 빅맥가격과 시간 당 임금을 비교하여 수치로 나타낸 것.
어쩌면 이건 미래사회에 있을법한 사회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비판한 영화일지도 모른다는 생각
시간이 많으면 불멸의 삶이다. 늙지 않는다
=> 돈이 많으면 생명을 어느정도 연장할 수 있다
=>갖가지 권모술수(리프팅, 성형수술, 값비싼 화장품, 건강 식품을 챙겨먹는 등)로 젊어보일 수 있다
시간도 인플레이션이 있다
=> 돈은 거의 매년 인플레이션이 있다
시간 금수저들은 시간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 현실 금수저들은 돈 걱정을 하지 않는다
영화에서 계속해서 '시간'을 벌어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현실과 다른 장치 중의 하나라고 생각되는데, 일정 연령이 지나면 멈춰있던 시계가 작동이 되고 그때부터 '시간에 쫓기는 삶'이 시작됩니다.
자신의 팔에 새겨진 시계에 시간이 '0'이 되면 심장 마비로 죽게 됩니다. 때문에, 흙수저들은 어쩔 수 없이 어릴 때부터 '노동'을 해야합니다. 풍족하지 않은 가정이라면 '공부'를 하지 못하고 '노동'을 해야만 하는 처지에 있습니다.
시간 보유자들의 주거지역과 생활 양식은 시간에 쫓기는 사람들과 다르다
=> 고소득자와 저소득자의 주거지가 다르며 향유하는
문화와 생활양식이 다르다
시간의 발행 = 화폐의 발행
현대 경제학은 금본위제에서 탈피한 후, 거의 무한대의 화폐를 찍어낼 수 있도록 변해왔습니다. '채권'을 발행함으로써 말이죠. 영화 내에서도 시간이 어디서 '발행되는지, 생성되는지'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저 수요와 공급을 '조절'할 뿐입니다.
현재의 화폐 발행도 이와 같습니다. 사회 구성원 간의 '약속'에 의해 일정한 수준의 가치를 지닌 '종이조각'인 '지폐'를 화폐로 사용합니다만,
이 지폐는 중앙은행에서 채권을 발행하여 경제에 화폐를 공급하게 됩니다.
뭐 이 영화리뷰 중 내용에 대한 스포일은 거의 없습니다. 굳이 있다면, 실비아와 윌이 손을 잡고 달리는 듯한 사진이 있다는 것, 단 하나?
크게 감명받을만한 영화는 아니지만, 현실과 비교하는 재미가 있는 영화.
그럼 재밌게 보시길.
P.S. 아, 현실처럼 영화에서도 부자들은 서두르는 법이 없습니다.
서두르면, '시간 부자'가 아닌 것이 들통납니다.
비가 와도 뛰지 않고, 아무리 추워도 톳불은 쬐지 않는 조선시대 양반이 생각나는군요.